컬렉션 타입이란? 여러개의 데이터 항목을 하나의 단위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것
파이썬에는 리스트, 튜플, 세트, 딕셔너리등이 기본적인 컬렉션 타입에 속함
리스트 활용(리스트는 [] 를 사용)
A = [8, 7, 7, 9, 1]
print(A)
print(type(A)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A자체가 []라는 리스트로 묶여있기 때문에 타입값은 list라는 값이 나온다
b = ['박형건', 8, 79.5, True]
print(b)
print(type(b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위와 같음
b = ['박형건', 8, 79.5, True]
print(b[0])
print(type(b[0])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박형건, class str 이 나옴 (0이 아닌 8을 넣었을때는 에러가나옴. 왜? 0~3까지 밖에 없기때문)
연산)
A = [8, 7, 7, 9, 1]
print(A)
print(A[0])
print(A[-2])
print(A[0] + A[-2]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1,3,5,7,9 / 8 / 9 / 17이 나온다
len() : 객체의 길이를 반환하는 파이썬 내장 함수
append() : 리스트에 사용되며, 리스트의 끝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
extend() : 리스트에 여러 요소를 추가
pop() : 리스트 마지막 요소를 삭제하고 삭제된 요소를 반환
insert() :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에 요소를 한개만 추가, (굳이 두개를 넣는다면 리스트형식으로만 가능!)
index() : 리스트에서 특정 값의 인덱스를 반환
reverse() : 리스트의 요소들의 순서를 반대로 뒤집음, 리버스는 바꾼후 값을 저장까지함
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순서를 뒤집는 방법
-[start : stop : step] 형식
-start를 생략하면 -1로 간주
-stop을 생략하면 0으로 간주
sort() : 리스트의 요소를 정렬(오름차순)
sorted() : 모든 요소를 정렬한 후, 값을 반환해주는 함수(잠시 변형시킨 값을 보여주는거라고 생각하면 될듯!)
count() :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의 갯수를 반환
'파이썬 도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3.14 컬렉션타입 -세트 (0) | 2024.03.14 |
---|---|
03.13 컬렉션타입-튜플 (0) | 2024.03.14 |
03.12 파이썬의 변수 (0) | 2024.03.12 |
03.12 파이썬 설치하는법 (0) | 2024.03.12 |
03.11 코랩 활용 (0) | 2024.03.11 |